[핫이슈] 철근메이커, 마감가격 인하는 역사에 남을 우(愚)를 범하는 일

- 철근메이커 유통과 상생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 고민해야
- 단순한 마감가격 인하는 “철근 판매가격 고시제”에 치명타 될 것

2019-04-26     윤용선 기자

철근메이커의 판매가격 고시제가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새로운 정책 도입 이후 4개월만에 내부 분열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유통업계의 관심이 마감가격으로 쏠리고 있는 가운데 온갖 소문이 난무하고 있다.
“A 제강사의 마감이 70만 5000원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B 제강사는 유통시세를 감안해 마감가격을 톤당 69만 5000원까지 맞추기로 했다”
등등.

소문의 근원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유통업계가 마감가격을 걱정해 원하는 바를 소문으로 전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과거 사례로 봤을 때 아니 땐 굴뚝에 연기가 날일 없다.

A와 B로 언급되고 있는 제강사는 중소 철근메이커들이다. H사는 원칙마감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다. “나 하나 쯤이야” 라는 고질병이 또 다시 도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철근 판매가격 고시제 안착을 위한 고객사 설득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건자회는 제강사의 철근 일물일가 정책을 바로 잡겠다며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를 발족할 예정이다. 비대위에는 건자회 및 건우회를 포함해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 산하 건설단체들이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만만치 않은 싸움이 될 전망이다.

또한 건설사는 철근 수요가 감소하면 판매가격 고시제는 자연스럽게 깨질 것으로 장담하고 있다. 이미 일부 제강사들이 판매가격 보다 톤당 1~1.5만원 낮은 단가에 입찰에 응하고 있다는 소식도 건설관련 언론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만약, 소문대로 4월 철근 마감을 추가 인하하는 메이커가 나타날 경우 “철근 판매가격 고시제”는 더 이상 유지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어려움 속에서도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던 대다수의 유통업체들이 받을 상대적 박탈감이 크기 때문이다.

A와 B 제강사의 마감가격 인하 검토는 자사가 아닌 유통을 위한 선택이다. 그러나 철근 유통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하다. 과거에도 도입됐던 “유통판매 장려금”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어렵게 도입된 판매정책이 단순한 논리로 인해 훼손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다.